신입 자라기 36일 차
Task Logging
시간 | Task |
7 : 10 | 기상 |
7 : 20 ~ 8 : 20 | 출근 시간 |
8 : 20 ~ 9 : 10 | 헬스 |
9 : 10 ~ 9 : 30 | 샤워 |
9 : 30 ~ 9 : 50 | 출근 |
9 : 50 ~ 10 : 00 | 1. 짐정리 |
10 : 00 ~ 11 : 30 | 1. SVM 사용하기 위해 로직 구현 |
11 : 30 ~ 12 : 30 | 점심 시간 1. 배민 |
12 : 30 ~ 18 : 00 | 1. 팀회의(2시간) 2. 메서드 수정 3. 코드 리뷰 |
18 : 00 ~ 19 : 00 | 저녁 시간 |
19 : 00 ~ 20 : 00 | 1. Task 정리 |
20 : 00 ~ 21 : 00 | 퇴근 시간 |
21 : 00 ~ 22 : 00 | 휴식 |
22 : 00 ~ 24 : 00 | 1. 머신러닝 알고리즘 공부 2. 블로그 포스팅 |
Numpy
np.clip(array, min, max)
- array 내 값들이 min보다 작으면 min으로 바꿔주고, max보다 크면 max로 바꿔줌
출근길에 보는 CS
빅오(Big-O) 표기법
- 알고리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
- 크기가 n일 파일을 전송하는데 O(n) 시간이 걸린다면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든다
- 파일 크기에 상관없이 O(1)의 시간이 소요되면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든다
- 시간 복잡도 : Big-O 표기법의 시간 개념, 알고리즘 수행 시간이 얼마인지 나타냄
- 공간 복잡도 : Big-O 표기법의 메모리 사용 개념, 알고리즘의 메모리 효율이 얼마인지 나타냄
알고리즘은 시간과 공간의 트레이드 오프임
- 실행 시간이 빠르다 ->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사용한다
- 실행 시간이 느리다 -> 상대적으로 공간을 덜 사용한다
'Study > 신입 자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신입 자라기 - 38 (0) | 2022.04.05 |
---|---|
[Study] 신입 자라기 - 37 (0) | 2022.04.02 |
[Study] 신입 자라기 - 35 (0) | 2022.03.31 |
[Study]신입 자라기 - 34 (0) | 2022.03.30 |
[Study]신입 자라기 - 33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