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도읽 : 쿠버네티스 도큐먼트 읽기
쿠버네티스 개념 이론을 정리하는 포스팅은 이번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해야겠다. 주관적으로 남은 개념들은 외우는 것보다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서 참고하면 좋은 내용이기 때문이다.
레이블과 셀렉터
- 레이블은 파드와 같은 오브젝트에 첨부된 키와 값의 쌍
- 오브젝트 특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
- 고유하지 않음
'metadata' : {
'labels' : {
"key1" : 'value1',
"key2" : 'value2' }
}
왜 사용하는 가?
- 사용자가 조직 구조와 시스템 오브젝트를 느슨하게 결합할 수 있음(클라이언트에 매핑 정보를 저장할 필요 X)
레이블 실렉터
- 레이블은 고유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블 셀렉터를 통해 오브젝트를 식별함
- 일치성 기준과 집합성 기준이라는 두 종류의 셀렉터를 지원함
- 일치성 기준과 집합성 기준은 외우지 말고 레이블 셀렉터 사용할 때 그냥 도큐먼트를 참고하자
'Study > 도커씨와쿠버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볼라고 쓰는 CUDA 부터 pytorch 설치 까지 (2) | 2022.09.16 |
---|---|
[K8s] 컨테이너 특징 및 리소스 설정, 1 컨테이너 N 프로세스 가능? (0) | 2022.08.06 |
[쿠도읽] 쿠버네티스 네임스페이스? namespace? - (6) (0) | 2022.03.07 |
[쿠도읽] 오브젝트 이름? ID? UID? -(5) (0) | 2022.03.05 |
[쿠도읽]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관리? - (4)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