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자라기 17일 차
Task Logging
- 텍스트형 데이터를 토크 나이저랑 해시 벡터 라이저 중에 어떤 걸, 무슨 상황에 써야 하는지 전혀 모르는 상황이었음
- base코드를 계속 보고 인터넷 서치가 주 업무, 무기력해지는 재택 근무 였음
연속형 변수 스케일링?
- Boosting이나 Trees알고리즘에는 연속형 변수의 데이터 스케일링이 필요 없음
from sklearn.feature_extraction.text import HashingVectorizer
hv = HashingVectorizer(n_features=300000)
%time hv.transform(twenty.data)
- get_feature_names() 불가능
재택 전에 보는 CS
메모리 관리 전략
- 메모리 시스템은 메모리 위치를 관리하며 할당과 접근을 제어함
- 제한된 물리적 메모리의 효율적인 사용 및 참조를 위함임
전략 4가지
스와핑 : CPU에서 실행 중이지 않은 프로세스 메모리 이미지를 저장장치로 이동시킴
연속 메모리 할당 : 프로세스가 필요한 메모리 요구량을 분석하고 연속으로 할당해줌
페이징 : 주소 공간을 분할해 비연속적인 물리 메모리 공간에 사용
세그멘테이션 : 메모리 공간을 분할해 비연속적인 물리 메모리 공간에 사용
'Study > 신입 자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신입 자라기 - 20 (0) | 2022.03.08 |
---|---|
[Study] 신입 자라기 - 18 (0) | 2022.03.04 |
[Study] 신입 자라기 - 16 (0) | 2022.03.02 |
[Study] 신입 자라기 - 15 (0) | 2022.03.01 |
[Study] 신입 자라기 - 14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