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신입 자라기

[Study] 신입 자라기 - 11

신입 자라기 11일 차

 

쿠버네티스 노드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파드 내에 배치하고 노드에서 실행함으로써 작동한다

노드는 클러스터에 따라 가상 이나 물리적 머신으로 작동

컨트롤 플레인이 노드를 관리

노드는 파드 실행에 필요한 서비스를 포함

노드 컴포넌트는 kubelet, 컨테이너 런타임, kube-proxy 포함

 

쿠버네티스 노드 관리

API 서버에 노드 추가하는 2가지 방법

1. 노드의 kubelet로 컨트롤 플레인에 자체 등록

2. 사용자가 노드 오브젝트를 수동으로 추가

{
  "kind": "Node",
  "apiVersion": "v1",
  "metadata": {
    "name": "10.240.79.157",
    "labels": {
      "name": "my-first-k8s-node"
    }
  }
}
  • 노드 오브젝트 또는 노드의 kubelet로 자체 등록한 후 컨트롤 플레인은 새 노드 오브젝트가 유효한지 확인
  • 내부적으로 노드 오브젝트 생성
  • 노드의 metadata.name 필드와 일치하는 API 서버에 등록이 되어있는지 확인
  • 노드가 정상이면 파드 실행

parquet(파케이)

  • 칼럼 기반 저장 포맷
  •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중 하나로 하둡에서 많이 사용되는 파일 포맷
  • 특정 언어에 종속 X, 빠르게 읽기 가능, 압축률 좋음

importlib.import_module

  • 동적으로 모듈을 임포트함
importlib.import_module(module_name, package=None)

출근길에 보는 CS

시스템 호출(System call)
  • 커널은 보안을 위해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인터페이스
커널
  • 운영체제의 핵심기능의 집합
커널 핵심 기능
  1. 프로세스 관리
  2. 메모리 관리
  3. 프로세스 통신 관리
  4. 파일 시스템 관리
  5. 입출력 관리
인터페이스
  •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커널에 명령을 전달

 

'Study > 신입 자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신입 자라기 - 13  (0) 2022.02.24
[Study] 신입 자라기 - 12  (0) 2022.02.23
[Study] 신입 자라기 - 10  (0) 2022.02.22
[Study]신입 자라기 - 8  (0) 2022.02.17
[Study]신입 자라기 - 7  (0) 202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