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신입 자라기

[Study] 신입 자라기 - 101

신입 자라기 101일 차, 수요일 [목, 금 - 휴가]

Daily Routine

시간 Routine
8 : 10  기상
9 : 00 ~ 10 : 00 출근 시간
10 : 00 ~ 11 : 30 1. ray에 의해 생성된 프로세스의 CPU 점유율 문제 원인 파악
11 : 30 ~ 12 : 30 점심 시간
12 : 30 ~ 18 : 00 1. ray memory limit 변경 및 테스트
18 : 00 ~ 퇴근

리눅스 top 명령어

VIRT(Virtual Memory)

  •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전체 메모리 용량(할당되고 있는 가상 메모리 전체 용량)
  • VIRT = RES + SWAP

RES(Resident Size)

  • 현재 페이지가 상주 중 인 메모리 용량(실제로 사용중인 물리 메모리 용량)
  • RES = CODE + DATA

SHR(Shared Memory)

  •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하고 있는 공유 메모리 용량,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같은 것들이 상주함
VIRT와 RES 값 차이가 큰 경우(위 사진)
Swap 메모리를 많이 사용한다는 의미임
Swap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성능 이슈를 야기함
그렇다면 Swap 메모리란?
  • 실제 메모리(Ram)가 가득 찼지만, 더 많은 메모리(Ram)이 필요한 경우 디스크 공간(가상 메모리)으로 대체하는 것
  • 실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게 아니라,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 이기 때문에 속도가 매우 느림

%MEM

  •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메모리 사용률

%CPU

  •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CPU 사용률
  • CPU가 여러 개이면, 특정 CPU에 대한 사용률임
  • 1번째에서 2개의 CPU가 100%를 사용하고 있으며, 아래 사진을 확인하면 여러 개의 CPU 중 2개가 100%를 사용 중

'Study > 신입 자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신입 자라기 - 103  (0) 2022.07.13
[Study] 신입 자라기 - 102  (0) 2022.07.12
[Study] 신입 자라기 - 100  (0) 2022.07.06
[Study] 신입 자라기 - 99  (0) 2022.07.05
[Study] 신입 자라기 - 98  (0) 2022.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