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자라기 77일 차, 화요일
Daily Routine
시간 | Routine |
8 : 30 | 기상 |
9 : 00 ~ 10 : 00 | 출근 시간 |
10 : 00 ~ 11 : 30 | 1. 테스트 환경 설정 |
11 : 30 ~ 12 : 30 | 점심 시간 |
12 : 30 ~ 18 : 00 | 1. 테스트 환경 설정 |
18 : 00 ~ 20 : 00 | 1. 퇴근 및 저녁 |
20 : 00 ~ 21 : 00 | 1. 블로그 포스팅 내일 공휴일 ~ ~ |
출근길에 보는 CS
캐시?
- 메모리와 CPU 간 속도 차이를 완화하기 위해 메모리 데이터를 미리 가져와 저장해두는 임시 저장소
- 캐시는 필요한 데이터를 모아서 한 번에 전달하는 버퍼의 일종
- CPU는 앞으로 사용할 데이터를 미리 가져오는데 이 작업을 Prefecth(먼저 가져오다)라고 함
- CPU는 메모리에 접근시 캐시를 먼저 방문해 원하는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만약 존재하면 Cache Hit(캐시 히트)라고 하며 바로 사용함
- 반대로 존재하지않으면 Cache Miss(캐시 미스)라고 하며, 메모리로 가서 찾게 된다.
- Cache Hit Ratio(캐시 적중률) : 캐시가 히트되는 비율
캐시 지역성
- 프로그램이 모든 데이터를 균등하게 접근하거나 참조하면 캐시 효율이 떨어지는데, 접근하는 특정 순간에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것을 지역성이라고 함
- 시간 지역성과 공간 지역성이 있음
- 시간 지역성 : 특정 데이터 접근 시, 가까운 미래에 한 번 더 접근할 가능성이 높음
- 공간 지역성 : 특정 데이터 주변 주소에 접근한 경우
'Study > 신입 자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신입 자라기 - 79 (0) | 2022.06.04 |
---|---|
[Study] 신입 자라기 - 78 (0) | 2022.06.03 |
[Study] 신입 자라기 - 76 (0) | 2022.05.31 |
[Study] 신입 자라기 - 75 (0) | 2022.05.27 |
[Study] 신입 자라기 - 74 (0)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