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 Gateway(Feat. Subent, VPC, Elastic IP)
갑자기 게이트웨이 타령?
- MLops 할라먼, 언젠가는 필요할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
Reference
NAT Gateway
- NAT을 처리해주는 장치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비공인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개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사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
- 프라이빗 서브넷 인스턴스가 VPC 외부 서비스에 연결 가능
- 하지만 외부 서비스에서 이러한 인스턴스와 연결을 시작할 수없도록 NAT Gateway 설정 가능
VPC (Virtual Private Cloud)
- 논리적으로 독립적인 네트워크
- VPC 내에서 서브넷, IP주소, 라우팅, 게이트웨이 및 엔드포인트, 피어링 연결 등을 독립적으로 설정 가능
Subnet(서브넷)
- VPC를 만들었으면 서브넷 만들 수 있음
- VPC 쪼개면 -> 서브넷
- 쪼개서 서브넷 왜 만드냐 -> 더 많은 네트워크 망
- 퍼블릭 서브넷, 프라이빗 서브넷 존재
Public Subnet(퍼블릭 서브넷)
- 프라이빗 서브넷 인스턴스는 퍼블릭 NAT Gateway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 가능
- 퍼블릭 서브넷에서 퍼블릭 NAT Gateway 생성하고
- 생성 시 탄력적 IP 주소를 NAT Gateway랑 연결해야 함
Private Subnet(프라이빗 서브넷)
- 프라이빗 서브넷 인스턴스는 프라이빗 NAT Gateway를 통해,
- 다른 VPC 또는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음
- 탄력적 IP주소를 프라이빗 NAT Gateway에 연결할 수 없음
- 프라이빗 NAT Gateway를 사용해 VPC에 IGA를 연결할 수 있지만,
- 프라이빗 NAT Gateway에서 IGA로 트래픽을 라우팅 하는 경우 IGA가 트래픽 삭제함
탄력적 IP주소 (Elastic IP Address)
- 동적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IPv4 주소
- 인터넷에서 연결 가능한 퍼블릭 IPv4 주소
- 인스턴스에 퍼블릭 IPv4 주소 없는 경우, 탄력적 IP 주소를 인스턴스에 연결에 인터넷 통신 활성화
- (ex :로컬 컴퓨터에 탄력적 IP 주소 할당하기)
- 하나의 탄력적 IP 주소만, 퍼블릭 NAT Gateway에 연결 가능함
- NAT Gateway에서 탄력적 IP 주소 변경하려면
- NAT Gateway 새로 만들기 -> 라우팅 테이블 업데이트 -> 이전 NAt Gateway 삭제
IGA (Internet Gateway)
- VPC와 인터넷을 연결해주는 관문
다시 NAT Gate way
- NAT Gateway는 프라아 빗 서브넷이 인터넷과 통신하기 위한 아웃바운드 인스턴스
- 퍼블릭 서브넷상에서 동작하는 NAT Gateway(그림 1)는 프라이빗 서브넷에서 외부로 요청하는 아웃바운드 트래픽을 받아 IGA와 연결
- 초당 백만 개, 최대 천만 개 패킷 처리 가능하고 초과 시 삭제
- 패킷 손실 방지하려면, 리소스를 여러 서브넷으로 분할하고, 서브넷에 대한 별도 NAT Gateway 생성
'MLOps >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Amazon S3? (0) | 2022.12.28 |
---|---|
[CLOUD] 인바운드 & 아웃 바운드 (Feat. 보안그룹) (2) | 2022.12.15 |